안양 삼막사
삼성산에 위치한 전통사찰 제9호인 삼막사는 신라시대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후, 조선 초기에 무학대사가 중수하였고, 서산대사 등이 수도한 곳이라고 전해져 온다.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지금으로부터 1300 여년 전인 신라 문무왕 17년(677년)에 원효, 의상, 윤필 등 세 스님이 암자를 지어 정진한 바로 그 위치에 삼막사가 지어졌다고 하며, 삼성산 이라는 이름도 이때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 후 도선국사가 불상을 모셔 관음사로 부르다, 사찰이 융성해지면서 도량의 짜임이 중국 소주(昭州)의 삼막사를 닮아 삼막사로 불렀는데, 언제부터 인가 삼막으로 바뀌었다. 근대에는 지운영이 이곳에 백련암을 지어 은거하였고 현재 조선후기 건축양식인 망해루와 명왕전(경기도 유형문화재)이 있으며 고려시대 삼층석탑인 일명 살례탑(경기도 유형문화재)과 사적비(경기도 유형 문화재), 삼막사 남녀근석(경기도 민속자료), 삼막사 마애삼존불(경기도 유형문화재) 외에도 삼귀자, 감로정 등 다수의 비지정 문화재가 있어 삼막사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운영시간
일출~일몰
휴무정보
연중무휴
유의사항
※ 주차 가능합니다.
대표번호
주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석수동)
상세소개
Tip.운영사항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