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각사(부여)

정각사(부여)

* 바른 깨달음을 얻는 곳, 정각사 *바른 깨달음을 얻는 곳이라는 뜻을 지닌 정각사. 그 이름처럼 정각사에는 깨달음을 실천한 스님들의 부도가 사찰 입구에 서 있어서 절집을 찾아가는 나그네의 발길을 잡아끈다.몇 천 겁의 인연으로 멈추어 서서 바라보는 부도에는 오랜 시간의 흐름이 이끼가 되어 머물러 있었다. 내 발길 끌고 내 눈길 기다린 그 분은 누구였던가? 한때는 부처님을 향해 용맹 정진하여 구도의 길을 따랐을 스님의 이름은 이제 세월의 풍상을 겪으며 마모되고 지워지고 흔적만 남아 공부 짧은 나그네가 아무리 눈을 동그랗게 뜨고 마음을 모아 보아도 정확히 읽을 수 없게 되어 버렸다.간신히 한 두 분의 법명을 겨우겨우 찾아내고 작은 기쁨을 가져본다. 이 정각사에는 다섯 분의 부도가 있다던데.... 또다시 주지 스님을 졸라 다른 스님들이 모셔진 부도밭에 가길 조른다. 고희를 바라보는 주지스님은 하룻밤을 정각사에 머물며 절집과 깊은 인연을 맺은 속인들의 청을 너그럽게 받아들이시곤 깡마른 체구로 축지법을 쓰듯 휘휘 앞서 걸어가는데, 해뜰녁 새벽 공기를 가르며 두 번째 부도밭을 가는 길은 큰스님들의 구도의 길마냥 인상적이다.절집에서 나와 논두렁밭두렁을 지나 한참을 걸어 억새풀이 사람 키보다 더 큰 실개천을 건너 야트막하나 낙엽이 한 자나 쌓여 발 디딜 길을 잘못 찾아 푹푹 빠지거나 헛디뎌 가곤 했다. 그러길 10여분이 지나자 줄지어선 것같은 송림 사이로 나란히 서 있는 세 기의 부도가 한 눈에 들어 왔다. 드디어 부도밭에 다 온 것이다. 종 모양을 닮거나 팔각원당형의 부도가 아담하게 서 있는데 스님의 법명이라도 알아내려고 손을 더듬고 만져 확인한다.이처럼 정각사는 그 역사가 다 밝혀지진 않았으나, 마을 이름이 정각리라고 할 만큼 한때는 꽤 규모 있는 사찰이어서 이곳에 인연을 지은 여러 스님들이 깨달음을 얻은 것 같다. 지금도 햇볕이 잘 드는 양지바른 언덕에는 법당이 서 있고, 그 곳에서 사방을 내려보면 부처님의 큰 법이 온누리에 가득차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정각사의 유래와 연혁 *부여에서 작은 길을 따라 논산 방향으로 가다보면 정각리에 이르고, 그 위에 있는 수골 마을에서 남쪽 태조산 방향으로 접어들면 절에 이르게 된다. 정각사는 태조산 중턱에 산 경사면을 깎아 축대로 대지를 조성한 후 건물을 조성하였다. 백제 때 창건되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이를 입증할 만한 기록은 찾아지지 않는다. 조선 중엽에 편찬된『신증동국여지승람』이나 1799년에 편찬된 『범우고』에 사찰의 위치만 전해지고 있어서 구체적 연혁이나 역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는 실정이다.나한전 뒤쪽 암벽에 삼존불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중 협시불 1구가 반가사유상으로 보이고는 있으나 조각의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사찰 경내로 들어가는 입구의 좌측편에 있는 석종형의 부도 2기를 포함해 모두 5기의 부도가 있다고 하며, 그 중 1기를 1958년에 기단보수 공사 중 사리가 출토되어 부여박물관에서 조사한 바 있다.「부여지」에 의하면 이 절의 동쪽에는 도솔암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한편 「부여지」에는 석성면 현내리에 부도탑이 있는 곳에 명적암(明寂庵)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인할 수 없다. 태조산 서쪽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는 정각사에는 1981년에 중건한 대웅전은 현재는 주지스님이 거처로 사용하고 있으며, 요사 두 채 가운데 하나를 1999년 11월에 완공했다. 나머지 요사 한 채는 2000년에 해체 중건했다고 한다.


대표번호

정각사 041-836-6413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왕릉로정각사길 165 (석성면)

Tip.운영사항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문의바랍니다.


첫 리뷰를 작성해주세요 ~

위치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