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춘가옥
일제강점기 군산에서 대규모 농장을 경영하던 일본인 대지주 구마모토 리헤이가 지은 별장주택으로 일년에 봄철과 추수철에 농장을 방문할 때 임시거처로 사용되던 별장과 같은 건물로 서구식과 한식,일식의 여러 건축양식이 절충된 다양한 양식적 특성을 띄며, 해방 후 우리나라 농촌보건위생의 선구자 쌍천 이영춘 박사가 거주하며 이영춘 가옥이라 불리게 되었다. 아름다운 건물 외관으로 인해 빙점, 모래시계, 야인시대 등 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장소가 되고 있다. 쌍천 이영춘 박사는 한국의 슈바이쳐라 불리는데 호인 쌍천은 두 가닥의 샘물 즉 육제척 질병을 치유하는 샘물과 영혼을 치유하는 샘물이라는 뜻이다.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1903년 10월 태어났다. 평양고보 사법과 시절 담임선생이던 경성제대 와다나베 교수의 소개로 전북 개정의 구마모토 농장에 소속된 2만여 명 소작농 가족을 돌보기 위해 1935년 4월 33세의 젊은 나이에 자혜의원 원장으로 부임하게 된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양호교사제와 의료보험조합을 실시하였다.
운영시간
화~일 10:00 ~17:00
휴무정보
매주 월요일 휴무
대표번호
주소
전라북도 군산시 동개정길 7 (개정동)
상세소개
한국의 슈바이쳐 이영춘 박사가 거주했던 곳
" 이영춘가옥 "
#군산 #군산여행 #이영춘가옥
#군산문화재
이영춘 가옥은 일제강점기
전북 지역에서 대규모 농장을 경영했던
일본인 대지주 구마모토의
개인 별장으로 지어졌어요.
광복 이후 구마모토 농장의 진료소장이었던
이영춘 박사가 거주하였답니다.
이영춘 박사는 1929년
세브란스 의전을 졸업하고
1935년 교토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조선인 교수 밑에서 연구한
최초의 의학박사로 농천 보건위생의
선구자 역할을 하며,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렸답니다.
이 가옥은 일본식 주택의 기본적인
공간 구성에 서구식 주택의 응접실과
한식 주택의 온돌방을 결합한
단층 목조 주택이에요.
정교한 실내 장식과 가구 뿐만 아니라,
천연 슬레이트 지붕과 자연석 및
목재로 마감한 서구식 외관이 특징이에요.
내부에 들어가면 이영춘 박사의
삶과 일상에 대한 글과
가옥의 건축사적 의미등
역사가 담긴 자료가 있답니다.
이국적인 느낌의 가옥이라서
입구에서 사진을 찍으면
사진이 정말 예쁘게 나와요~
군산에 놀러오시는 분들에게는
우리나라 문화재 '이영춘 가옥'에 들려
내부 구경도 하고, 예쁜 사진도 찍고
좋은 시간 보내고 가시길 추천드려요.
Tip.운영사항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문의바랍니다.
위치안내
주변 음식
주변 여행지
주변 레포츠
주변 숙박
진행/예정중인 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