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엄사
화엄사는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5.4km 떨어진 곳,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천년 고찰로 544년(백제 성왕22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하여 절의 이름을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과 대웅상적광전만 세워졌고 그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라 헌강왕1년)에 도선국사가 또 다시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사찰 내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재 2점등 많은 문화재와 20여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는 일주문을 지나 약 30˚꺽어서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금강역사, 문수, 보현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에 다다르는데 이 문은 금강문과는 서쪽 방향으로 빗겨 놓은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이 천왕문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 보제루에 이르고 보제루는 다른 절에서 그 밑을 통과하여 대웅전에 이르는 방법과는 다르게 누의 옆을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절내에서는 동,서 두개의 탑이 사선 방향으로 보이며 동측탑의 윗부분보다 한단 높은 더위에 대웅전이 있고 서쪽탑의 윗부분에는 각황전이 위치하고 있다. 경내 건물중 각황전은 국보 제 67호로 지정된 매우 유명한 건물이며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그 웅장한 외양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각황전 앞 뜰에 서있는 석등은 높이 6.3m, 직경 2.8m 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통일 신라시대 불교 중흥기의 찬란한 조각예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보 제 12호로 지정되어 있다. 각황전 왼편 효대라는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4사자 3층석탑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며 세운 탑으로 특이한 의장과 세련된 조각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국보 제35호이다. 각황전 내부 후편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회 괘불탱은 국보 제301호로 1997년도에 지정되었다. 화엄사 경내 보물 가운데서도 대웅전 양편에 서있는 5층탑은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장식이 눈길을 끄는 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 제132호와 133호로 지정돼 있다. 또한 이곳의 대웅전은 보물 299호로 조선시대의 우수한 예술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국립공원인 지리산의 훌륭한 경관을 배경으로 곳곳에 명소와 절경이 산재해 있다. 한편 하동에서 화엄사에 이르는 19번국도변(약 35㎞) 에는 가로수로 벚꽃나무가 심어져 매년 4월 벚꽃이 만개할 때면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인근에는 섬진강매화마을, 고소성 군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등 많은 관광지가 있어 수많은 상춘객이 몰리는 곳이다. * 문화재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제12호),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국보 제35호),화엄사 각황전(국보 제67호),화엄사 영산회괘불탱(국보 제301호),화엄사 동,서 5층석탑(보물 제132호,133호),화엄사 대웅전(보물 제299호),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제300호), 화엄사 화엄석경(보물 제1040호),화엄사의 올벚나무(천연기념물 제38호), 화엄사 보제루(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화엄사 구층암 석등(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운영시간
매일 07:00 - 19:30
체험내용
- 화엄사 영산회괘불탱(국보 301호)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12호)
-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국보 35호)
- 화엄사 각황전(국보 67호)
- 목조비로자나 삼신불좌상 (보물 1548호)
- 대웅전 삼신탱화 (보물 1463호)
- 화엄사 서오층석탑 사리장엄구 (보물 1348호)
- 화엄석경(보물 제1040호)
- 화엄사 원통전전사자탑 : 사사자 감로탑(보물 300호)
- 화엄사 대웅전(보물 299호)
- 화엄사 서오층 석탑(보물133호)
-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132호)
홈페이지
대표번호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마산면)
상세소개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화엄사'는 백제시대 때 창건되어
천년의 역사를 가진 사찰으로
웅장한 위엄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례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는 물론이며
국보4가지와 보물8가지와
천연기념물인 매화, 올벚나무가
사찰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구례, 곡성 여행시 강추하는 필수 명소입니다.
ⓒAPI투어
구례하면 산수유, 화엄사하면 매화
화엄사에도 홍매화가 가득 피었는데요.
이 고고한 자태를 보고있으니,
이 모습을 보기위해서 멀리서 오시는
사진가분들의 마음을 읽을수 있었어요.
ⓒAPI투어
봄을 알리는 꽃 중에 하나가 된
홍매화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이렇게 오래된 사찰에서만
볼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화엄사각황전(국보 67호)과
각황전 앞에 있는 석등(국보 12호)은
화엄사의 트레이드 마크입니다.
약간의 둔중한 감이 느껴지긴 하지만
활짝 핀 연꽃조각의 소박미와 화사석·지붕돌 등에서
보여주는 웅건한 조각미를 간직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작품입니다.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영산회괘불탱(국보 제301호)은
화엄사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입니다.
이 괘불의 크기는 길이 11.95m,
폭 7.76m, 무게가 200Kg로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보현보살과
사천왕상 등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국보 제35호)의
탑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절 서북쪽의
높은 대지에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으며,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입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국보이외에도 화엄사는
보물 8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웅전에서는 목조비로 지나
삼신불좌상과 삼신탱화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또한 대웅전 앞에는
서오층석탑(좌)과 동오층석탑(우)이 있습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서오층석탑의 조각과 장식이
조금 더 화려함을 알 수 있듯
다른 점을 찾아보는 묘미가 있습니다.
<자료제공 : 화엄사홈페이지>
화엄사는 전국의 사찰중에도
베스트에 뽑힐만큼
절 전체의 건축물과 풍경 하나하나가
모두 국보급입니다.
ⓒAPI투어
사찰의 고즈넉함과 절을 둘러싼
매화의 아름다움을 보고싶다면
구례 화엄사로 힐링하러 오세요♡
요금/비용 안내
Tip.운영사항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