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호부청사

인천도호부청사

도호부는 조선시대 행정기관의 하나로 상급기관인 목(牧)과 하급기관인 군(郡) · 현(縣) 사이에서 행정을 담당했던 관청이다. 조선시대에는 전국을 8도(道)로 나누고 도(道)아래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을 두고 지방행정업무를 관장하였다. 인천에 도호부가 설치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초기 학자이자 명신(名臣)인 강희맹(姜希孟)이 쓴 "인천부호승호기(仁川府陞號記)"에 1424년 이미 객사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최소한 그 이전에 도호부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인천도호부에는 당초 왕권의 상징인 객사(客舍)를 비롯하여 부사의 집무처인 동헌(東軒), 내동헌(內東軒) 등 15~16동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전하는 현재는 문학초등학교 교정에 객사와 동헌 일부만 보존되어 있다.이 곳에 복원한 건물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花島鎭圖를 근거로 객사, 동헌, 공수 등 7동의 건물을 복원하였다. 도호부사는 도호부의 모든 행정을 통괄하는 자로서 그 주된 임무는 수령칠사(守令七事)라 하여 농사와 누에치는 일을 잘 돌볼 것, 인구를 늘릴것, 교육을 진흥시킬 것, 군대에 관한 사무를 바르게 할 것, 부역등을 균등히 할 것, 민사의 소송을 바르게 할 것, 간교하고 교활함이 없도록 할 것 등 지방수령의 공통임무에 속해 있으며 지방관의 치적은 관찰사를 통해 매년 임금에게 보고되었다. 또한 유사시에는 군대를 지휘하여 전투에 임하는 등 군사지휘권도 장악하고 있었다.


운영시간

하절기(3~10월) 10:00~19:00
동절기(11~2월) 10:00~18:00


홈페이지

www.dohobu.org


대표번호

032-422-3492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589 (문학동)

Tip.운영사항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문의바랍니다.


첫 리뷰를 작성해주세요 ~

위치안내